만성질환
01.고혈압 02.당뇨병 03.관절염
고혈압
  • open 고혈압의 정의
  • 혈압이란 혈압이 정상범위를 넘어 높은 상태 그대로가 지속되고 있는 혈압으로서, 최고혈압(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 최저혈압(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을 나타내면 그 사람은 고혈압이라고 진단합니다. (정상혈압은 120/80mmHg)
  • open 고혈압의 원인
  • 90~95%정도의 고혈압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이다. 나머지 5~10%정도는 신장 이상이나 혈관 이상, 부신 질환, 갑상선 질환 등으로 혈압이 높아지는 이차성 고혈압이다. 이 경우 원인 질환을 찾아 치료하면 정상화 됩니다.
  • open 고혈압의 증상
  • 고혈압증상은 합병증이 발병하기 전까지는 거의 없거나 사람에 따라 느끼는 것이 다릅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우선 의사에게 상담을 해야 합니다.
    (1) 두통, 두중감, 어깨가 뻐근함
    (2) 어지러움, 이명
    (3) 동계, 숨참, 가슴통증
    (4) 부종, 손발 저림
    이상과 같은 증상은 반드시 고혈압에서만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지만 고혈압을 말끔히 치료하면 두통이나 어깨 뻐근함, 어지러움 등은 가벼워지거나 없어집니다.
  • open 고혈압의 주요한 합병증
  •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혈관 내 압력의 증가화 동맥경화 촉진 작용으로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장 근육 비대, 심부전 등의 심장 질환, 신부전, 신경화증 등의 신장질환, 말초 혈관 질환, 눈 망막증 등 여러 장기에 손상을 야기합니다.
  • open 고혈압 치료
  • 혈압 치료의 최대 목적은 적정한 혈압을 유지함으로써 고혈압에 의해 야기되는 장기의 손상을 막는 것입니다. 따라서 약물 복용만큼 식생활 개선이 중요합니다.

    (1) 최고혈압 140mmHg, 최저혈압 90mmHg 이상의 사람에서는 우선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약물요법을 병행해야 하며, 최고혈압 160mmHg, 95mmHg을 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2) 식사요법
    염분을 줄이는데 신경을 쓰고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섭취를 줄여 비만을 예방해야 합니다. 우유를 통해 칼슘 섭취를 증가시킵니다. 과일과 채소를 통해 칼륨 섭취를 증가시킵니다 인스턴트 음식과 가공식품, 그리고 외식을 가급적 줄입니다.

    (3) 운동
    지속적인 운동을 하면 체중의 감소와 무관하게 5~7mmHg 정도의 혈압이 감소합니다. 운동 중의 심박수가 분당 110~120회 정도 되도록 하거나 땀이 날 정도의 강도로 30~60분간 하며, 1주일에 3~5회 정도가 적당합니다. 고혈압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은 빨리 걷기, 조깅, 아쿠아로빅, 자전거타기, 줄넘기, 체조 등의 유산소 운동입니다.

    (4) 금연, 금주

    (5) 체중 감량
    비만 중 남성형 비만(상복부 비만)은 고혈압과 많은 관계가 있습니다. 체중을 1kg 감량하면 수축기 혈압/확장기 혈압은 1.6/1.3mmHg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여성의 경우, 경구용 피임약 복용을 중단합니다.

    (7) 이미 고혈압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의사가 처방을 바꾸기 전까지는 성실하게 약물을 복용합니다.
건강정보리스트
Contact Us Contact Us Contact Us
Copyright © 2013 Han Wha Pharma Co., Ltd.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맵 | English | PC 버전